점심먹고커피마시기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카테고리 입니다 (11)
      • IT (3)
      • 금융 (4)
      • 통신 (3)
  • 홈
  • 태그
  • 방명록
IT

입사 후 신입이 알아야할 기초 VPN 지식

비대면 근무에 필요한 VPN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자 작성하는 글입니다. VPN은 무엇인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한 회사나 몇몇 단체가 내용을 바깥 사람에게 드러내지 않고 통신할 목적으로 쓰이는 사설 통신망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IP(IP Address)에 대해 이해가 있어야 됩니다. IP는 간단하게 말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신분증' 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또한, IP 주소는 유한한 자원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국가별로 나눠서 IP 주소를 할당받게 되며 IPv6으로 유한한 자원을 무한대로 늘리게 됩니다. 이러한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활동하면서 많은 흔적을 남기게 되고 광고회사, 인터넷 회사, 사이버 경찰 등과 같이 ..

2022. 2. 20. 13:44
통신

TSM? 무엇일까

TSM? MNO? NFC?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작성하는 글 입니다. 먼저 TSM란? 그럴려면 SE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SE는 또 무엇인가 SE는 Security Element의 약자로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매체를 말합니다. 간단하게 말해 '보안이 강화된 컴퓨터' 라고 할 수 있으며,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위한 Application을 설치하여 고객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결제를 위한 인증 및 서비스 안정성을 지원하는 장치입니다. 이제부터는 TSM에 대해 설명을 하겠습니다. TSM은 Trusted Service Manager의 약자로 신뢰 받는 서비스 관리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모바일결제서비스에서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모바일 결제정보를 통신..

2022. 2. 13. 09:47
통신

MVNO, 알뜰폰 그것이 알고싶다

최근 MZ세대위주로 알뜰폰 사용이 급증하면서 이에 좀 더 알아보고자 쓴 글입니다. 1. 먼저 MVNO란? Mobile Virtual Netwok Operator의 약자로 가상 이동 통신 사업자라고 불린다. 물리적인 이동통신망인 전송/기지국을 보유하지 않고 이동 통신망 사업자로부터 임차해 자사 브랜드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입니다. 참고로, 현재 SK telecom은 MVNO의 의무사업제공자입니다. 2. 왜 우리나라에서는 MVNO가 아닌 알뜰폰이라고 불리는 걸까? 국내에서는 과점 상태인 통신 시장에 경쟁을 활성화시키고 통신비 인하를 목표로 2010년 MVNO란 이름으로 시작됐습니다. 이후, 2012년 6월 24일 방송통신위원회의 대국민 공모전 결과로 알뜰폰이라는 국민들에게 가성비 높은 통신 서비스란..

2022. 2. 6. 20:27
금융

지역화폐가 나아가야할 방향은?

지역화폐 관련해서 정리하고자 쓴 글입니다. 글의 순서는 1. 지역화폐 2. 간편결제 3. 돈 버는 방법 4. 앞으로의 지역화폐가 나아가야할 방향 입니다. :) 1. 지역화폐에 대해서 간단한 정의를 보자면 "특정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대안 화폐이다." 라고 위키백과에서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위 그림처럼 지역화폐는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법정화폐이지만 국가에서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지역화폐는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뉘고 있습니다. - 지류형: 종이 화폐 / 농협 등에서 구매 가능 - 카드형: 충전시 체크카드로 모바일앱, 금융사를 통해 대부분의 체크카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 - 모바일: 스마트폰의 바코드 및 QR 코드 활용한 결제방식 이 3가지 종류 중 주로 카드형 지역화폐가 현재는..

2022. 2. 2. 08:48
금융

결제시스템 이해할래요

2022년 핀테크 기업 취업 후, 결제시스템관련 교육을 이해하고자 정리한 글 입니다. 크게 결제시스템 3당사자 구조 4당사자 구조 3가지 부분을 중점으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결제시스템 구조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결제시스템 구조가 무엇이 있는지 알아야 됩니다. - 3당사자 결제구조 - 4당사자 결제구조 이렇게 2가지 구조로 나뉘게 되며, Issuer, User, Merchant는 3당사자 Issuer, User, Merchant + Acquirer가 추가된 4당사자 현재 우리나라는 3당사자 구조로 여기서 추가적으로 VAN사가 껴있는 결제 시스템입니다. 이와 달리, 미국 등 신용카드업이 먼저 발달한 선진국에서는 카드 발급사와 카드 매출에서 발생하는 채권을 전문적으로 사들이는 회사인 카드 채..

2022. 1. 15. 17:30
  • «
  • 1
  • 2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카테고리 입니다 (11)
    • IT (3)
    • 금융 (4)
    • 통신 (3)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 #빅데이터
  • #현대카드
  • #결제시스템
  • #간편 결제
  • #카카오페이
  • #코나카드
  • #간편결제
  • #KG이니시스
  • #NFC
  • #패스트캠퍼스
  • #TSM
  • #MNO
  • #토스페이
  • #데이터 산업
  • #코나아이
  • #지역화폐
  • #핀테크
  • #딥러닝
  • #VAN 사
  • #페이코
  • #3당사자
  • #PG
  • #네이버페이
  • #자급제 스마트폰
  • #롯데카드
  • #MVNO
  • #USIM
  • #CARD GORILLA
  • #van
  • #알뜰폰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점심먹고커피마시기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