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 2022. 2. 2. 08:48

지역화폐가 나아가야할 방향은?

지역화폐 관련해서 정리하고자 쓴 글입니다.
글의 순서는
1. 지역화폐
2. 간편결제
3. 돈 버는 방법
4. 앞으로의 지역화폐가 나아가야할 방향 입니다. :)

1. 지역화폐에 대해서

간단한 정의를 보자면 "특정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대안 화폐이다." 라고 위키백과에서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지역화폐

또한, 위 그림처럼 지역화폐는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법정화폐이지만 국가에서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지역화폐는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뉘고 있습니다.
- 지류형: 종이 화폐 / 농협 등에서 구매 가능
- 카드형: 충전시 체크카드로 모바일앱, 금융사를 통해 대부분의 체크카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
- 모바일: 스마트폰의 바코드 및 QR 코드 활용한 결제방식

이 3가지 종류 중 주로 카드형 지역화폐가 현재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글에서도 카드형 지역화폐에 대해 소개할 예정 입니다.

1-1. 현재 국내 카드시장 현황은?

카드 종류

먼저 카드 종류 위와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그 중, 선불카드는 지역화폐의 카드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코나아이)

인천e음
국내 카드 시장 점유율

다음으로는 국내 카드 시장 점유율입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외상거래인 신용카드 점유율이 1위이며, 전세계적으로 살펴봐도 매우 많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결국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됩니다.

1-2. 신용카드의 문제점

무분별한 신용카드의 사용은 개인부채의 상승을 야기하고 결국 국가부도의 위험성을 높이게 됩니다.

그럼 왜 국내는 신용카드를 많이 사용할까??
바로, 은행/카드사의 마케팅(광고)으로 마치 신용카드가 외상이 아닌 단순히 결제수단으로 신용카드 인식 변화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의 명확한 인식과 선불카드의 사용을 지양해야 됩니다.

2. 간편결제? 간단하게 살펴보자

간편결제 이해

위 그림과 같이 간편결제는 결제수단이 아니며!! 선불 사업 활성화를 위해 현혹한 짝퉁 결제수단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3. 돈 버는 방법

크게 2가지로 나뉠수 있습니다.
1. 기업 취업
2. 자영업(프리랜서)

먼저, 기업 취업을 살펴보자면 안정적인 급여소득을 장점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자영업부문으로 소득의 불안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를 좀더 나아가 현재의 코로나19와 지역 경제 붕괴라는 문제점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간 900조 시장의 소비를 일부분 자영업에게 돌려주는 형태(100조이상의 시장)로 바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정부도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랑 상품권(발행규모 2800억), 온누리(1조?) 라는 많은 세금을 투입해 해결하고자 노력했지만, 예상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3-1. 정부가 도입한 지류형 지역화폐의 문제점

지류형 지역화폐의 문제점

그림과 같이 유통과정에서 지류형 지역화폐의 판매, 생산에서 많은 비용을 지불하지만, 정작 소상공인에게 혜택이 없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한번 쓰고 버려지는 지류형 지역화폐의 불편함은 추가적인 비용 지출이라는 비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4. 앞으로의 지역화폐가 나아가야할 방향

무분별한 신용카드, 간편결제의 현혹, 지류형 화폐의 문제점을 해결을 위해서는 선불카드 사용의 지양과 카드형 지역화폐의 활성화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불카드 지역화폐를 기반으로 사회 고도화에 따른 빈부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환원 매커니즘 개발을 해야 되며, 단순히 지역화폐뿐이 아닌 지역커뮤니티 플랫폼을 도입해야 됩니다.


함께 하면 좋은 글 😊
- https://hyunooo.tistory.com/1

결제시스템 이해할래요

2022년 핀테크 기업 취업 후, 결제시스템관련 교육을 이해하고자 정리한 글 입니다. 크게 결제시스템 3당사자 구조 4당사자 구조 3가지 부분을 중점으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결제시

hyunooo.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