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 2022. 4. 17. 12:25

간편결제 알고싶어서 작성하는 글!

카드결제 시장에 관심이 많던 와중 간편결제라는 것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어 작성하는 글입니다.

 

간편결제를 알기 전에 그 상위 개념인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먼저 짚고 넘어가자

 

온라인에서의 결제는 기존 온라인 몰을 기준으로 각각 개별로 카드사와 협의하여 결제를 준비해 나갔다. 하지만 이는 매우 비효율적이였고, 이로 인해 생겨난 것이 Payment Gateway, 즉 PG다.

 

PG가 생겨나면서 카드사, 가맹점 모두 편리해졌고, PG는 대표 가맹점으로서 카드사와 직접 계약 한다.

온라인 결제 시스템(PG)

PG사들의 간편 결제 시작

기존 온라인 결제는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없었기에 고객들은 불편해도 매번 카드정보, 유효기간, CVC를 입력 해야헀다. 플러스 보안모듈은 덤이였다고 한다ㅎ

출처: 요즘IT

그러던 와중 2014년 정부의 '천송이 코드 발언'이 있었다. 유명 드라마에 나온 상품을 해외 한류 팬들이 국내 몰에서 구매하기 힘든 내용이다. 이후로 PG가 카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법이 개정되면서 간편 결제의 개념이 생겨났고, 카카오페이를 필두로 우후죽순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에 PG 사들은 미리 배포해둔 결제 모듈만 바꿔 간편 결제를 시작했다. 이게 PG에서 시작한 간편 결제가 많았던 이유이다. 페이코도 KCP 한국사이버결제라는 대형 PG에서 시작했다. 또한 2019년 12월, 한창 유니콘 기업으로 주목받던 토스가 유플러스의 PG를 인수하면서 금융포털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간편결제에 자세히 알아보자

간편 결제를 딱 정의하자면 모바일이나 PC를 이용한 기존의 카드 기반 결제과정에서 신용카드 정보 및 공인인증서나 OTP를 매번 입력해야했던 과정을 단축하여 모바일에 카드 정보를 한번만 입력해 두고 이후 결제시 비밀번호, 지문인식 등 간단한 인증과정을 통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지칭.

 

간편결제서비스의 유형은?

지급수단별로 나뉘게 된다. 

1. 신용카드/체크카드

- 간편결제수단으로 신용(체크)카드를 선택해 미리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 번호, 카드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를 입력해 실제로 결제가 이루어질 때는 간편결제비밀번호의 입력만으로 결제를 하는 방식을 의미.

- 그 비율은 신용카드(84.9%), 체크카드(58.3%), 휴대폰 소액결제(33.0%), 선불계정(7.8%) 순으로 신용카드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선불전자지급수단

- 금전적 가치를 전자적 방법으로 사전에 저장한 선불전자지급수단을 간편결제수단으로 등록한 후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물품 등을 구입할 때 간편결제비밀번호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방식을 의미.

- 예) 네이버페이, G마켓의 Smile Pay

3. 계좌이체

- 간편결제의 수단으로 미리 특정계좌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예금주, 주민등록번호 등 계좌이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간편결제용 계좌로 등록한 후,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품 등을 구매할 때에는 간편결제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물품 구매자의 등록된 계좌로부터 온라인 쇼핑몰의 계좌로 자금을 이체하여 결제하는 방식을 의미.

4. 직불전자지급수단

- 사전충전이 필요한 선불전자지급수단과 달리 온라인/오프라인에서 물품 등의 구매시 구매자의 금융기관계좌에서 판매자의 계좌로 구매대금이 이체되도록 중계하는 서비스

- 예) 제로페이

5. 휴대폰 소액결제

-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품 등을 구매할 때 간편결제수단으로 휴대폰 소액결제를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

- 이러한 결제방식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전인증절차의 복잡성과 온라인 쇼핑시 신용카드 이용의 보편화된 현실로 인하여 계좌이체방식인 동 서비스의 확산은 저조한 설정

 

관련사업자별 유형은? 

1. 은행

- 주로 제로페이를 자사의 앱에서 활용하여 간편결제서비스를 제공

- 현재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설정

2. 신용카드사

- 기존의 실물 신용카드를 대체하여 앱카드를 이용한 간편결제서비스 제공

- 앱카드는 NFC(근접무선통신) 등을 통해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

3. 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PG업자)

- 온라인 쇼핑몰 등 전자상거래업체와 신용카드사 등 금융기관 사이에서 결제과정을 대행하는 서비스로 대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이 PG업자를 경유하여 결제과정을 완료

- PG업자는 비금융기관으로 전자상거래업체와 금융기관간의 결제를 대항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는데, 자체 유통망이나 플랫폼을 가진 업체들이 PG업계에 진출하면서 간편결제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어 전자상거래의 주요당사자로 부각, 현재 전체 간편결제금액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크게 2가지로 더 나눌수 있는데 겸업PG(네이버페이, 스마일페이, 카카오페이), 전업PG(페이코, 케이페이)가 있다.

4. 단말기제조사

- 스마트폰을 제조하는 삼성전자가 제공하는 삼성페이라는 명칭으로 제공하는 간편결제서비스가 대표적인 사례

- 미리 스마트폰 앱에 등록한 후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때는 기존의 신용카드 단말기나 NFC단말기를 사용하여 결제하거나 온라인에서는 간편결제비밀번호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방식

- 삼성페이와 같은 경우 MST(마그네틱보안전송)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신용카드 단말기로도 결제가 가능하기에 대부분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 가능.

- 오프라인 결제금액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참고사항으로 아래는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간편결제 시장에 관한 생각

IT기술이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으로 온라인 결제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제는 실물 카드가 아닌 스마트폰 속의 유심과 MVNO을 통해 안전한 결제가 이뤄지는 혁신을 기대해본다. 예를 들자면 애플페이와 같이 스마트폰 하나만 가지고 다녀도 NFC기반으로 결제가 가능해기에 스마트폰의 역할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함께 하면 좋은 글 😊

- https://hyunooo.tistory.com/4

 

TSM? 무엇일까

TSM? MNO? NFC?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작성하는 글 입니다. 먼저 TSM란? 그럴려면 SE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SE는 또 무엇인가 SE는 Security Element의 약자로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

hyunooo.tistory.com

- https://hyunooo.tistory.com/3

 

MVNO, 알뜰폰 그것이 알고싶다

최근 MZ세대위주로 알뜰폰 사용이 급증하면서 이에 좀 더 알아보고자 쓴 글입니다. 1. 먼저 MVNO란? Mobile Virtual Netwok Operator의 약자로 가상 이동 통신 사업자라고 불린다. 물리적인 이동통신망인 전

hyunooo.tistory.com

- https://hyunooo.tistory.com/7

 

USIM의 탄생과 기술

TSM에 대해 학습하다 USIM 기술 쪽에 대해 더 알고 싶어 작성하는 글입니다. 먼저 USIM이란? 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의 약자로 전세계 3G/HSDPA 표준가입자 인증방식 서비스라고 한다. 이 말을 보고

hyunooo.tistory.com

 

 

 

참고문헌

- 길진세 프로덕트님 | 결제산업 완전분석: 7온라인 결제와 간편 결제의 등장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209/

- 김홍식 | 간편결제서비스에 관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